카테고리 없음
[스크랩] 2006년 제6회차 문제(11-20)
윤재영
2006. 8. 28. 22:41
2006년 제6회차 문제(11-20)
11. 다음 중 뜻이 전혀 다른 단어 하나는? (정답 : 4) | |||||||
| |||||||
‘장삼이사(張三李四), 갑남을녀(甲男乙女), 필부필부(匹夫匹婦)’에는 모두 평범한 사람이라는 뜻이 들어 있다. ‘칠전팔기(七顚八起)’는 여러 번 실패해도 꾸준히 노력한다는 뜻이다. |
12. 다음은 어린 아기를 데리고 놀면서 하는 말이다. 풀이가 잘못된 것은? (정답 : 2) | |||||||
| |||||||
‘둥개둥개’는 아기를 안거나 쳐들고 어를 때 내는 소리이다. 머리를 좌우로 흔들라는 뜻으로 내는 소리는 ‘도리도리’이다. |
13. 다음 밑줄 친 단어 중 한자어로 볼 수 없는 것은? (정답 : 3) | |||||||
| |||||||
‘흥(興)’, ‘기(氣)’, ‘화(火)’는 한자어로 볼 수 있는 데 반해 ③의 ‘신’은 한자어로 볼 수 없다. 즉, 고유어이다. |
14.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할 때 권리를 주장하기 위하여 심술을 부리는 성질을 가리켜 ‘몽니’라고 한다. 다음 가운데 ‘몽니’의 쓰임이 자연스럽지 않은 것은? (정답 : 1) | |||||||
| |||||||
‘몽니’는 ‘몽니를 부리다’라는 표현이나 ‘몽니가 궂다’, ‘몽니가 사납다’ 등의 관용구로 널리 쓰인다. ‘몽니를 쓰다’라는 표현으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. |
15. 다음 중 두견이(두견새)를 뜻하는 말이 아닌 것은? (정답 : 4) | |||||||
| |||||||
‘고천자’는 종다리를 뜻하는 말이다. |
16. 다음은 채만식의 <탁류>에 나오는 구절이다. 밑줄 친 단어의 뜻으로 적합한
것은? 그는 한때의 손짭손으로 일생을 그르칠 생각은 없었다. 만일 태수와 이렇게 오래오래 두고 지내다가는 필경
파탈이 나서, 큰 풍파가 일고라야 말 것을 그는 잘 알고 있다. (정답 : 1) | |||||||
| |||||||
②는 ‘꺽짓손’, ③은 ‘혼잣손’, ④는 ‘손사래’의 풀이이다. |
17. 다음 중 뜻이 같은 속담과 한자 성구가 잘못 연결된 것은? (정답 : 2) | |||||||
| |||||||
‘등화가친’은 등불을 가까이할 만하다는 뜻으로 가을이 글 읽기에 좋음을 말할 때 쓰는 말이다. ‘등잔 밑이 어둡다’에 어울리는 한자 성구는 ‘등하불명(燈下不明)’이다. |
18. ‘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의 속은 모른다’라는 속담에 보이는 ‘길’의 정확한 뜻은? (정답 : 1) | |||||||
| |||||||
이 속담에서 ‘길’은 수 관형사인 ‘열’, ‘한’ 등과 어울려 쓰이는 단위성 의존 명사로서 길이의 단위를 나타낸다. |
19. 다음에 제시된 단어들의 ( )에 공통으로 들어갈 수 있는 동물은? ( )뜀, ( )띠,
( )잠, ( )풀 (정답 : 3) | |||||||
| |||||||
20. 다음 중 풀이가 잘못된 것은? (정답 : 4) | |||||||
| |||||||
‘샛바람’은 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이다. |
출처 : 내 안은 항상 슬프다/우리글 우리말
글쓴이 : 국어사랑 원글보기
메모 :