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06년 제6회차 문제(1-10)
1.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잘못 쓰인 것은? (정답 : 1) | |||||||
| |||||||
조사 ‘-부터’는 관형사 ‘옛’ 뒤에 붙을 수 없음. 명사 ‘예’와는 결합할 수 있음. |
2. 다음 밑줄 친 활용형 중 한글 맞춤법에 맞는 것은? (정답 : 2) | |||||||
| |||||||
① 말아라→마라 ③ 만듬→만듦 ④ 늘은→는 |
3.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띄어쓰기가 바르게 된 것은? (정답 : 3) | |||||||
| |||||||
① 올거야→올 거야(관형사형 어미가 결합된 용언과 의존명사는 띄어 쓴다.) ② 하나 밖에→하나밖에(조사 ‘밖에’는 앞말에 붙여 쓴다.) ④ 나서기 보다는→나서기보다는(명사형 어미가 결합된 용언 뒤에 조사는 붙여 쓴다.) |
4. 다음 <보기> 중 표준어는 모두 몇 개인가? <보기> (정답 : 2)꼭두각시, 덩쿨, 허위대, 봉숭화, 정구지, 숫염소, 윗쪽, 제비초리, 주꾸미, 웃니 | |||||||
| |||||||
덩쿨→덩굴/넝쿨, 허위대→허우대, 봉숭화→봉숭아/봉선화, 정구지→부추, 윗쪽→위쪽, 웃니→윗니 |
5. 다음 외래어 가운데 한글 표기가 바르지 않은 것은? (정답 : 4) | |||||||
| |||||||
영어 ‘buzzer[bʌzər]’라는 단어에서 유래한 말의 올바른 한글 표기는 ‘부저’가 아닌 ‘버저’이다. |
6. 다음 밑줄 친 부분의 발음이 맞는 것은? (정답 : 4) | |||||||
| |||||||
① [핻삐시]→[핻삐치] ② [끄츨]→[끄틀] ③ [머리수시]→[머리수치] |
7. 다음의 농구 용어 가운데 다듬을 말과 다듬은 말이 잘못 연결된 것은? (정답 : 2) | |||||||
| |||||||
‘어시스트’의 다듬은 말은 ‘도움’이고 ‘가로채기’는 ‘인터셉트’의 다듬은 말이다. |
8. 다음에서 ‘파트너(partner)’의 다듬은 말로 볼 수 없는 것은? (정답 : 4) | |||||||
| |||||||
④의 ‘적’은 ‘서로 싸우거나 해치고자 하는 상대’를 뜻하여, 우리말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‘파트너’와는 다소 거리가 있다. |
9. 다음 밑줄 친 말 중 꼭 필요한 문장성분이 아닌 것은? (정답 : 3) | |||||||
| |||||||
문장성분 중 필수 성분에 해당하는 것은 주어, 목적어, 보어, 서술어. ① 주어 ② 목적어 ③ 부사어 ④ 보어 |
10. 다음 중 하나의 의미로만 해석되는 문장은? (정답 : 4) | |||||||
| |||||||
① 영수가 재희의 집과 우리 집을 각각 방문한 경우 / 영수가 재희와 함께 우리 집을 방문한 경우 ② 학생들이 모두 다 오지 않은 경우 / 학생들이 일부만 온 경우 ③ ‘웃으면서’의 주체가 ‘그’인 경우 / ‘웃으면서’의 주체가 ‘선영이’인 경우 |
국립국어원
출처 : 내 안은 항상 슬프다/우리글 우리말
글쓴이 : 국어사랑 원글보기
메모 :